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터넷 속도 느려졌을 때 셀프 점검 체크리스트

by 꿈꾸는 인생222 2025. 9. 8.

 

인터넷 속도 느려졌을 때 셀프 점검 체크리스트 (초보자용 안내서)

 

* 인터넷이 느려질 때, 어디부터 확인해야 할까?

평소보다 웹사이트가 느리게 열리거나, 유튜브 영상이 자주 끊긴다면 인터넷 속도 저하가 의심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전문가를 부르지 않아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인터넷 속도 셀프 점검 방법을 정리해드릴게요.

 1. 인터넷 속도 테스트 먼저 해보세요

느린 것 같다고 느낀다면 먼저 실제 속도를 수치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다운로드 속도 기준으로 가정용 인터넷은 100Mbps 이상, 기가인터넷은 500Mbps 이상이 정상입니다. 10~30Mbps 수준이라면 속도 저하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2. 공유기 전원 껐다 켜기 (리부팅)

가장 기본적이지만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공유기는 장시간 켜져 있을 경우 내부 메모리 오류나 발열로 인해 속도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전원 어댑터를 뽑고 10초 후 다시 연결하세요. 대부분의 인터넷 속도 문제는 공유기 재부팅으로 해결됩니다.

 3. 와이파이 vs 유선 연결 속도 비교

무선(Wi-Fi)과 유선(LAN) 연결은 속도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벽, 거리, 간섭 등으로 인해 와이파이 성능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어요.

  • 💻 노트북: LAN 케이블로 직접 연결해 속도 테스트
  • 📱 스마트폰: 공유기 가까이에서 측정 후 비교

유선에서는 빠르고, 무선에서만 느릴 경우 와이파이 문제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4. 주변 전자기기 간섭 확인

2.4GHz 주파수를 사용하는 와이파이는 전자레인지, 블루투스, 무선전화기 등과 간섭을 받습니다.

  • 📶 가능하다면 5GHz 주파수로 전환
  • 📍 공유기 위치를 중앙 & 개방된 공간으로 조정

 5. 연결된 기기 수 확인

너무 많은 기기가 한 공유기에 연결되면 속도가 분산되며 전체 성능이 저하됩니다. 특히 IPTV, 스마트폰, 스마트TV, 노트북이 동시에 사용할 경우 속도 저하가 발생합니다.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 또는 앱에서 현재 연결된 기기 수를 확인하고, 필요 없는 기기를 차단하세요.

 6. DNS 설정 변경

특정 웹사이트만 느릴 경우 DNS 응답 속도 문제일 수 있습니다. Google DNS나 Cloudflare DNS로 변경해보세요.

  • 🟢 Google DNS: 8.8.8.8 / 8.8.4.4
  • 🟣 Cloudflare DNS: 1.1.1.1 / 1.0.0.1

변경 방법은 PC → 네트워크 설정 → DNS 수동 입력 메뉴에서 가능합니다.

* 이런 경우엔 전문가 점검이 필요해요

  • ☑ 속도가 극단적으로 낮고, 모든 기기에서 동일
  • ☑ 공유기 리셋 후에도 지속적으로 끊김 발생
  • ☑ 특정 시간대(저녁)에만 속도 저하가 발생

위와 같은 경우 ISP(인터넷 제공업체) 문제일 수 있으니 고객센터에 문의해 회선 점검을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 요약: 셀프 점검 체크리스트

  •  인터넷 속도 테스트 사이트로 수치 확인
  •  공유기 리셋 (10초 후 재부팅)
  •  유선 vs 무선 속도 비교
  •  공유기 위치 및 전자기기 간섭 확인
  •  DNS 수동 설정으로 속도 개선 가능
  •  연결 기기 수 확인 및 정리